시스템 프로그래밍(system Programing) 시스템 프로그래밍 이란?? 프로그램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다. 하나는 사용자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흔히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사용 목적에 따라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 대표적으로 한글, MS office등이 있다. 나머지 하나는 지금부터 이야기 할 시스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과 다르게 시스템을 움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즉 시스템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 시스템 프로그램은 왜 필요할까?? 컴퓨터는 매우 원시적인 기계로, 사용자가 시키는 대로만 한다. 사용자는 컴퓨터에게 일을 시키기 위해서는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려야 되는데 사실 컴퓨터는 "사람의 말"을 모른다. 컴퓨터 라는 기계는 0과 1밖에 아는게 없기에,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려고 하면 0과 .. 더보기 디지털 포렌식[컴퓨터 법의학]이란??? 1. 디지털 포렌식이란? 컴퓨터 법의학’이라 불리는데 전자증거물을 사법기관에 제출하기 위해 휴대폰, PDA, PC, 서버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디지털수사과정을 뜻한다. 대검찰청 등 주요 수사기관마다 포렌식센터(forensic center)가 개설돼 있다 - 네이버 지식 백과 포렌식은 범죄 과학 수사를 의미하는 말로 디지털 포렌식은 컴퓨터 법의학, 즉 컴퓨터 수사를 말한다. 요즘 드라마 '유령'에 나온 사이버 수사대도 이와 같은 '디지털 포렌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볼수 있다. 2. 디지털 포렌식의 필요성 디지털 포렌식은 사이버 범죄 수사, 민사 분쟁, 침해 사고 등에 사용된다.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를 이용한 범죄가 늘어감에 따라 디지털 포렌식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 더보기 메모리의 누수 현상 전산학에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현상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를 계속 점유하고 있는 현상이다. 할당된 메모리를 사용한 다음 반환하지 않는 것이 누적되면 메모리가 낭비된다. 일부 서적에서 메모리 손실이라는 용어로 뜻을 옮기기도 하지만[1] leak라는 표현은 단순히 잃는 것 이상의 개념이므로 누수라는 표현이 더 정확하다. 결과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시간이 가면 갈수록 메모리를 더 많이 잡아 먹는다. (서버에서의 백그 라운드 작업에서 이러하기도 하지만, 특히 임베디드 장치에서도 여러 해 동안 이러한 문제가 지속되었다.) 컴퓨터 게임을 하거나 동영상의 프레임을 렌더링할 때 새로운 메모리가 수시로 할당된다. 프로그램을 종료해도 해당 프로그램은 실제로 종료되지 않고 공유 메모리..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